목록전체 글 (11)
vonvon56 님의 블로그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실행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설정, 종속성을 하나로 묶어 어디서든 동일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만든 가벼운 패키지다. 도커는 이러한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실행을 돕는 플랫폼이자 도구.왜 컨테이너와 도커가 필요한가?개발을 하다 보면 로컬 환경에서는 잘 작동하던 코드가 서버에서 실행되지 않는 경우를 자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주로 운영 체제, 라이브러리, 또는 애플리케이션 설정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도커는 이러한 환경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한다. 컨테이너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환경을 통째로 패키징한다. 이를 통해 로컬 개발 환경, 테스트 서버, 실제 운영 서버에서 동일한 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도커를 사용하면 "로컬에서는 잘 되는데 ..

1. 이슈: 졸업논문 응답 부정확졸업논문들은 대부분 맨 앞장이 다음과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서,첫 장만 OCR해서 넘겼던 기존 로직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했다.그래서 계속 프롬프트에 넣어준 응답만 반환하는 문제가 생겼다. 2. 해결: 프롬프트 분기 설정 & 순서 조정이것이 프롬프트의 예외 처리 파트였다.더보기There may not be enough information, and the first page may only have dummy information. In such cases, you can definitely extract the author's name and title from another page.If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page is insuffi..
https://github.com/SNULION-12th/likesaju-frontend-seminar/tree/gyeongseo GitHub - SNULION-12th/likesaju-frontend-seminar: 2학기 프론트엔드 세미나 12기 공개용 레포2학기 프론트엔드 세미나 12기 공개용 레포. Contribute to SNULION-12th/likesaju-frontend-semina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멋사주 사이트에 모바일 반응형을 추가한 코드이다. 기능은 크게 4가지, 메인 페이지의 ShareSection, FAQSection, 그리고 Header 컴포넌트, 좌측 텍스트 섹션에 tailwind media ..
1. HTTP 프로토콜과 WebSocket 프로토콜의 특징 및 차이점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여러 방식 중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토콜이 바로 HTTP와 WebSocket이다.둘 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연결해 주지만, 서로 다른 상황에 특화되어 있다. HTTP 프로토콜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 페이지를 주고받는 데 쓰이는 기본적인 프로토콜이다.보통 우리가 웹사이트를 열 때 사용하는 대부분의 통신이 HTTP로 이루어진다.요청-응답 구조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예를 들어, 어떤 웹페이지 주소를 입력하면 브라우저가 HTTP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그에 맞는 HTML, CSS, 이미지 등을 응답으로 보내주는 식이..

Pt 1. 상태 관리 - Redux Toolkit1. 정의Redux Toolkit이란, Redux를 간편하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식 툴이다. 이름대로 Redux의 여러 툴들이 포함되어 있어서, 개발을 편하게 해준다! 2. 필요성1. Redux 설정의 복잡함 Redux는 전역 상태 관리를 훌륭히 수행할 수 있지만, 설정법이 너무 어렵다. 학습에 비용이 좀 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2. 추가 도구 설치 필요 1번과도 연결되는 내용인데, Redux만으로는 불충분해서 redux-thunk 같은 미들웨어가 필요하다. 이런 설정들이 꼬이면 관리하기가 힘들어지는 것! 3. 코드 반복 작성 필요 Redux는 액션이나 리듀서를 정의할 때, 반복되는 코드가 많고 플젝 규모가 커질수록 관리가 어렵다. 이러한 ..

간편로그인멋사 해커톤 때, 간편로그인은 네이버만 구현에 성공했고 구글 로그인 api는 연결하다가 DB가 꼬이는 사고가 생겼었다. 이번 기회에 제대로 공부해 보도록 하자! OAuth 2.0 OAuth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다른 웹사이트 상의 자신들의 정보에 대해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는 공통적인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접근 위임을 위한 개방형 표준이다. 편리성과 보안이라는 2가지 장점을 갖고 있기에 많이 사용된다!1. 편리성OAuth 2.0은 사용자가 여러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서 동일한 계정으로 로그인을 가능하게 해줍니다.Google, Facebook, GitHub 등의 계정을 사용하여 별도의 회원가입 없이 다양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이로 인해..
첫 해커톤멋사 활동하면서 웹개발을 거의 처음으로 배우고, 실제 프로덕트를 만들어 보았다.REFERTO라는, 참고문헌 생성 및 관리 서비스에 백엔드(Django) 담당으로 참여했다.깃허브 링크와 프로젝트 설명은 아래에!https://github.com/vonvon56/referto-backend 프로젝트 백엔드 레" data-og-description="2024년 서울대학교 멋쟁이사자처럼 해커톤 프로젝트 백엔드 레포지토리. Contribute to vonvon56/referto-backend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data-og-host="github.com" data-og-source-url="https://github.com/vonvon56..
Tree는 geometric object다. 서로에 대해 spacially organized bits가 있음.그걸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게 이 챕터의 목적. 다른 챕터와는 조금 이질적일 수 있으며, 데이터 별로 없다. Geometry of trees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1. 다양한 파트에 이름을 할당해줄 수 있으며, 각 파트가 서로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설명할 수 있다. (constituent의 정확한 정의 등)2. Geometry of trees에 직접적으로 연관된 syntactic phenomena 많다. (예: anaphora) 1. The parts of a TreeBranch: tree의 두 부분을 잇는 선Node: branch의 끝Label: node에 주어진 이름. Root nod..
사회언어학>지금까진 fixed, static, conventional한 것만 했는데 이젠 variation과 change 다룰 것.언어 간 관계는 어떻게 평가하지?사람들은 어떻게 정체성을 표현할 variant를 선택하나?Language variation은 pervasive(퍼지는), systematic하다. Demographic factors(지리, 인종, 계층, 성별)이 어떻게 language variation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학문. 사회언어학은 개별 언어 간의 차이가 아니라 dialect(distinct variety of a language) 간의 차이에 초점1. Dialects1.a. 용어 정리Pejorative(경멸적인)하지 않은 용어. Mutual intelligibility가 기..
의미란 무엇일까? David Lewis: 의미를 알려면 의미가 하는 것, 그것을 하는 걸 물어봐야 한다(?) 안다 = 우리가 단어/발화의 의미를 이해할 때 무엇이 일어나는가? 1. Inference - entailment : semantics -> 취소할 수 없다. - presupposition : semantics & pragmatics - implicature: pragmatics - social meaning : sociolinguistics 2. Entailment Basic literal meaning에 의해 발생하는 implication S는 S’를 함축한다: 1. S로 설명 가능한 모든 상황이 S’로도 설명 가능할 때 2. S가 true -> S’도 반드시 true 3. S-and-no..